Network 3

STP(Spanning Tree Protocol)의 동작방식과 RSTP, PVST, MSTP

스위치 이중화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의 루핑을 방지. 특정 포트를 block 상태로 바꿈. 핵심 공식 3가지 첫째,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를 갖는다. 둘째,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를 갖는다. 셋째, 세그먼트당 하나씩의 Designated port를 갖는다. (브리지or스위치가 서로 연결되어 있을 때 이 세그먼트에서 반드시 한 포트는 지정포트로 선출되어야 함. 루트포트 선출 우선순위 3가지 1단계: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2단계: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3단계: 누구의 BID가 더 낮은가? 4단계: 누구의 포트ID가 더 낮은가? 상태변화 5가지 Root bridge(메인 스위치or브리지) 선정방..

Network 2023.03.14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에는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가 있습니다. 각각의 방식은 다양한 목적에 따라 사용됩니다. 1. 유니캐스트(Unicast) 유니캐스트는 하나의 송신자가 하나의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인터넷에서 웹 페이지를 요청하면 클라이언트는 웹 서버에게 유니캐스트로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해당 페이지를 유니캐스트로 전송합니다. 유니캐스트는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수신자만 데이터를 받으므로 다른 수신자에게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브로드캐스트는 하나의 송신자가 모든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

Network 2023.03.14

IP address / Subnet Mask

IP(Interent Protocol) - 네트워크 계층(L3)에서 사용되는 데이터의 논리적인 주소.(8bit.8bit.8bit.8bit - 총 32bit) 주소부족 해결을 위해 IPv6 사용 IP주소 클래스(IP Address Class) A class(Unicast) : 0.0.0.0 ~ 127.255.255.255 (0~127) - x.0.0.0/8 B class(Unicast) : 128.0.0.0 ~ 191.255.255.255 (128~191) - x.x.0.0/16 C class(Unicast) : 192.0.0.0 ~ 223.255.255.255 (192~223) - x.x.x.0/24 D class(Multicast) : 224.0.0.0 ~ 239.255.255.255 (멀티캐스트 주소..

Network 2023.03.13